이번달에는 블로그 글 20개를 써서 수익창출이 되는 블로그를 만들것이다.
그래서 오늘의 주제는 잘못알면 헷갈리는 서브넷 마스크와 네트워크 대역 이다.
1. 서브넷 마스크란?
IP 주소는 보통 A.B.C.D/숫자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192.168.1.0/24라는 주소에서 /24가 서브넷 마스크를 의미한다.
📌 서브넷 마스크 역할:
-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
-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
-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
🚀 쉽게 비유하면?
- "네트워크 = 하나의 아파트 단지"
- "IP 주소 = 아파트 호수"
- 서브넷 마스크는 어디까지가 같은 아파트 단지(네트워크)인지 정하는 기준
✅ 예시: 255.255.255.0과 255.255.0.0 차이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부분 호스트 부분 네트워크 크기
255.255.255.0 (/24) | 앞 24비트 (192.168.1) | 뒤 8비트 (0~255) | 작은 네트워크 |
255.255.0.0 (/16) | 앞 16비트 (192.168) | 뒤 16비트 (0.0~255.255) | 큰 네트워크 |
즉, /24는 작은 네트워크, /16은 더 넓은 네트워크!
2. 서브넷 마스크가 왜 255.255.255.0일까?
서브넷 마스크는 2진수로 표현할 때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2진수로 변환하면?
🔹 255.255.255.0 (/24)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
- 앞 24비트(네트워크): 192.168.1
- 뒤 8비트(호스트): 0 ~ 255
🔹 255.255.0.0 (/16)
11111111 11111111 00000000 00000000
- 앞 16비트(네트워크): 192.168
- 뒤 16비트(호스트): 0.0 ~ 255.255
📌 비유하면?
- /16 → 서울시 전체
- /24 → 강남구 한 구역
- /30 → 특정 건물
3. 네트워크 대역(IP 범위)은 어떻게 정해질까?
서브넷 마스크에 따라 사용 가능한 IP 개수가 달라진다.
✅ 예제
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대역 (IP 범위) 사용 가능한 IP 개수
192.168.1.0/24 | 192.168.1.0 ~ 192.168.1.255 | 256개 (2^8) |
192.168.0.0/16 | 192.168.0.0 ~ 192.168.255.255 | 65,536개 (2^16) |
🚀 사용 가능한 IP 개수 공식:
2^(남은 비트 수) - 2
- -2를 하는 이유: 네트워크 주소(.0)와 브로드캐스트 주소(.255)는 사용할 수 없음.
- 예를 들어 /24는 2^8 - 2 = 254개의 호스트 IP를 가질 수 있다.
4. 실전 예제: 서브넷 마스크 적용
✅ 문제: 네트워크에 50대의 컴퓨터를 연결해야 한다.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는?
📌 필요한 호스트 개수: 50대
📌 IP 개수 계산:
- /24 → 256개 (충분히 가능)
- /26 → 64개 (적당함)
- /27 → 32개 (부족함 ❌)
🚀 결론: /26 (255.255.255.192)가 적절한 서브넷!
5. 결론
-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범위를 정하는 역할을 한다.
- 비트 수에 따라 네트워크 크기가 달라진다.
- IP 대역이 클수록(예: /16) 많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 적절한 서브넷을 사용하면 IP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Full-Stack&Beyo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ocker 네트워크 충돌 문제 및 해결 방법 (네트워크 개념을 곁들인) (0) | 2025.02.26 |
---|---|
네트워크 기초 완벽 정리: 패킷, 라우팅,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0) | 2025.02.26 |
인터넷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 (0) | 2025.02.23 |
AWS 서비스를 On-Premise 환경으로 마이그레이션하기 (0) | 2025.02.22 |
무인 주류 판매 플랫폼 구축기 (그런데 이제 인공지능을 곁들인)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