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를 사용하던 중, 서버의 호스트 네트워크와 Docker의 기본 브릿지 네트워크(docker0)가 충돌하면서 컨테이너의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했다. 일반적으로 Docker는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설정하지만, 특정 환경에서는 기존 네트워크와 겹쳐서 예상치 못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오류가 발생한김에 Docker 네트워크 충돌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네트워크 개념과 함께 쉽게 정리해보겠다. 1. 문제 상황: Docker 실행 후 네트워크 연결이 끊김💻 현재 환경- 서버 1 (172.17.1.10)- 서버 2 (172.16.1.10)- 서버 2에서 Docker 실행중 🚨 현상1️⃣ Docker 실행 전에는 서버1 (172.17.1.10) →서버2 (172.16.1.10)..
네트워크를 다루다 보면 패킷, 라우팅,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같은 개념이 자주 등장한다.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기초부터 쉽게 설명해보겠다. 1.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전송될까?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는 "패킷(Packet)"이라는 단위로 쪼개져서 전송된다.패킷은 마치 편지를 보내는 것과 같은 원리로 동작한다.📌 비유하면?패킷 = 편지 봉투 (데이터를 담고 있는 단위)보내는 사람 (출발지 IP) = 송신자받는 사람 (목적지 IP) = 수신자배달원 (라우터) = 데이터를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할🚀 패킷 전송 과정 예제내가 192.168.1.10에서 192.168.1.20으로 데이터를 보낸다.운영체제(OS)는 패킷을 생성하고, ..
이번달에는 블로그 글 20개를 써서 수익창출이 되는 블로그를 만들것이다.그래서 오늘의 주제는 잘못알면 헷갈리는 서브넷 마스크와 네트워크 대역 이다. 1. 서브넷 마스크란?IP 주소는 보통 A.B.C.D/숫자 형태로 나타난다.예를 들어 192.168.1.0/24라는 주소에서 /24가 서브넷 마스크를 의미한다.📌 서브넷 마스크 역할: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IP 주소를 효율적으로 관리🚀 쉽게 비유하면?"네트워크 = 하나의 아파트 단지""IP 주소 = 아파트 호수"서브넷 마스크는 어디까지가 같은 아파트 단지(네트워크)인지 정하는 기준✅ 예시: 255.255.255.0과 255.255.0.0 차이서브넷 마스크 네트워크 부분 호스트 부분 네트워..
너무나도 잘 알고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이었는데 누가 갑자기 물어봤을 때 머리속에만 떠다니고 정리되어 입밖으로 바로 나오지 않고 버퍼링이 상당히 걸린다는걸 깨달아서 다시 정리하는 차원에서 포스팅하는 글. 1. 브라우저가 입력을 해석하는 과정브라우저는 입력된 주소가 유효한 URL인지, 검색어인지 먼저 확인한다.www.naver.com이 올바른 도메인 형식인지 검사 (.com, .net 같은 도메인 확인)만약 주소가 유효한 URL이 아니라면, 브라우저는 검색 엔진으로 검색할지 판단www.naver.com이 올바른 도메인으로 보이면 인터넷을 통해 접속 시도이전 방문 기록이 있다면 브라우저 내부의 자동 완성 기능이 동작할 수도 있다. 2. 브라우저 캐시, DNS 캐시 확인 (속도 최적화)네이버에 처음 접속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