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일렉트론 앱 개발하다가 이렇게 개발된 실행파일은 디컴파일이 된다는걸 알게되었다. 궁금해서 직접 해봄. 엄청 간단하다. 방법1. asar패키지 설치asar을 시스템 전역에 설치해준다. npm install -g asar 2. 디컴파일할 프로그램 위치 찾기윈도우의 경우 아래 위치C:\Users\gildo\AppData\Local\Programs\앱이름\resources* gildo 는 내 컴퓨터 user 이름 (원래 gildogi 인데 처음에 윈도우 설치할 때 뭔지모를 이유로 짤림;) 이 폴더에 가면 app.asar 이란 파일이 보일것이다. 3. 디컴파일해당 폴더에서 명령창을 켜서 아래 명령어 실행asar extract app.asar app하면 app이란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 디컴파일된 파일들이 생..
📌 REST API의 역사 웹의 탄생과 초기 웹 (1991년대 초반)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웹의 기본 구성요소인 HTML, HTTP, URL을 개발하고 웹의 첫 웹 브라우저를 만들었다. 초기 웹은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정적인 웹 페이지가 주를 이룸. 인터넷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 정보들을 하이퍼 텍스트로 연결한다. 정보의 표현형식 : HTML 정보의 식별자 : URI 정보의 전송방법 : HTTP 프로토콜 동적인 웹과 서버-클라이언트 상호작용 (1990년대 후반) CGI(Common Gateway Interface) 기술을 도입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욱 중요해졌으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Intro프로젝트 기간 - 2022.03 ~ 2022.10회고를 왜 이제와서 하고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포트폴리오 정리하려고 과거 흔적을 보다보니 한군데 정리해두고싶어져서 이제라도 쓰기로했다. 그래도 블로그 말고 다른곳에 잔해들이 많이 남아있어서 다행 (진작 포스팅 할걸 그땐 생각을 못했다..) 해당 플젝은 내가 본격적으로 들어간 첫 대규모 프로젝트였다. 프로젝트 진행이 재미있긴 했다. 해보고 싶었던거 다 해보고 레거시를 뜯어고치고, 최신기술 도입하고 ㅋㅋㅋ그래서 이번에는 시스템 설계를 어떻게 했었는지에, 왜 그렇게 했는지에 대한 글을 써보고자한다. 제로베이스에서 프로그램을 만든건 아니고 내가 들어갔을 때, 기존 시스템이 있었는데 코드퀄리티와 너무 많은 오류율로 인해 제대로 작동이 불가능한 상황이었어서 새..
Intro Documentation | NestJS - A progressive Node.js framework Nest is a framework for building efficient, scalable Node.js server-side applications. It uses progressive JavaScript, is built with TypeScript and combines elements of OOP (Object Oriented Programming), FP (Functional Programming), and FRP (Functional Rea docs.nestjs.com 공식문서 최고! 평소에 그냥 jwt web token을 사용해서 인증을 진행했는데 nestjs 의 jwt ser..
Migraion?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적용 TypeORM에서 synchronize: true 로 entity와 DB의 싱크를 맞출 수 있지만 자칫 데이터 유실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production 레벨에서는 안전하지 않다. TypeORM 0.3에서 migration 진행하기 1. entity 생성 간단히 만들고 싶은 user entity를 생성했다. 2. package.json script에 아래 TypeORM 관련 스크립트 추가 각자 파일의 경로에 맞추어 스크립트 작성 "typeorm": "ts-node -r tsconfig-paths/register ./node_modules/typeorm/cli.js --dataSource ./data-source.ts", "migrat..
이 블로그는 개발블로그지만 번외편이니까 네이버 여행 블로그같이 써봄 내 비행기는 월요일 새벽 6:25 비행기 첫차가 뜰리 없다. 그래서 전날가서 밤을 샐까도 했지만 김포공항은 문을 닫는다고함😅 24시카페도 없고ㅠ 결국 쉬다가 새벽 4시반쯤 부랴부랴 짐을 싸고 나갈준비를 했다. (원래 준비시간 여유로웠는데 전날 야식의 유혹을 못이기고 엽떡로제를 시켜먹고 뻗음 근데진짜 대존맛) ✈️비행기고가요 택시타고 김포공항 도착!! 온몸이 카페인을 찾아대서 오자마자 좀비처럼 커피부터 찾고 뱅기를 타러간다. 이게바로 우리가 탈 비행기!! 는 무슨 우리도 아니고 아시아나도 아님. Hi air~!!! 하이에어라는 난생 처음들어보는 비행기를 타게되었다 노랑 핑크 초록 파랑 뱅기들이 줄서있다. (크 글씨색 칠한거 예쁜듯 뿌듯) ..
ELB? Elastic Load Balancer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싱 서비스. ELB는 여러 대의 EC2 인스턴스 또는 컨테이너 인스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관리하여 트래픽을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을 여러 대의 인스턴스에 분산하여 처리하므로, 단일 인스턴스에 비해 안정적이고 고가용성을 보장한다. Application Load Balancer(ALB) L7(HTTP/HTTPS) 로드 밸런서로, 다양한 기능과 높은 효율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URL 기반 라우팅, HTTP 헤더 기반 라우팅 등을 지원 Network Load Balancer(NLB) L4(TCP/UDP) 로드 밸런서로, 대규모 트래픽 처리와 빠른 응답 시간을 지원 Classic Lo..